서비스들, 특히 해외 서비스들을 쓰다보면 한국어 사용자를 위한 폰트를 따로 미지정한 경우 영문으로는 미려하고, 사용성이 편리한 디자인임에도 아쉬움이 생길 때가 많다.
최근 많이들 쓰고 있는 미디어 Medium 같은 경우, 읽고 쓰기에 최적화된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로 작성된 컨텐츠는 읽기에 불편하다.
인터넷 결제가 아니라면 보통은 Chrome 이나 Firefox 를 쓰고 있는데, 두 브라우저 모두 확장 기능으로 특정 사이트의 디자인 (CSS) 를 바꿀 수 있다. Chrome 은 Stylebot 라는 확장 프로그램을, Firefox는 Stylish 라는 확장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Stylebot 의 경우, 특정 사이트에서 CSS 라는 추가된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관리 패널을 통해서 선택한 영역의 CSS 를 만들어주기도 하고, 직접 CSS 를 편집할 수 있다.
Stylish 의 경우, 특정 사이트에서 S 라는 추가된 버튼을 클릭하고 새 스타일 작성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직접 CSS 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뜬다. Stylish 의 경우, 다른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적용하려고 만들어둔 CSS 를 검색하여 적용해볼 수도 있다.
내가 medium 에 적용한 CSS 는 아래와 같다.
div.section-content {
font-family: 굴림;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
line-height: 26px;
}
훨씬 읽기 편한 medium 이 되었다.
인용구까지 담기엔 너무 길어져서, 구글 Docs에 인용구 부분을 포함해서 발행했습니다. (구글 Docs 버전 바로가기) 리뷰. 블리츠스케일링은 비효율을 감내하고서라도 급격한 성장을 통해 퍼스트-스케일러 우위에 기반한 해자 Moat 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블리츠스케일링은 업종, 규모, 지역과 관계 없이 할 수 있지만 (Part 5) … Continue reading
계속 읽기모든 기업이 블리츠스케일링을 할 수도, 할 필요도 없습니다. 시장으로 진입하는 속도가 결과를 내는 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을 때, 블리츠스케일링이라는 ‘비상식적’ 실행이 필요합니다. 블리츠스케일링하기 좋은, 해야만 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특징 중 하나는 네트워크 효과를 기반으로 한다는 … Continue reading
계속 읽기제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해빗팩토리는 보험 분석 / 관리 앱 시그널플래너를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2022.09.21일 기준) 5점 만점 기준으로 안드로이드는 4.9점, iOS는 4.8점의 평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저희의 목표가 다른 회사들과는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빗팩토리의 목표는 정확한 데이터 … Continue reading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