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모델 (보통 how 서비스명 등으로 검색) 이나 개념상의 차이 (보통 키워드 A 키워드 B different 등으로 검색) 등에 대해서 구글에서 검색을 하면, quora 컨텐츠가 많이 노출되는 편입니다. 클릭해서 보다보면 관련 주제에 대해서 다양한 질문-답변을 보게 됩니다.
quora에서는 일주일에 한번 정도 quora digest 라는 메일을 보냅니다. 메일은 사용자가 최근에 quora에서 본 컨텐츠 기반으로 관련 주제의 질문-답변을 다이제스트 형태로 구성됩니다. 제목은 질문 형태로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예를 들면, 최근에 DSP와 DMP 등에 대해서 좀 찾아봤었는데, 오늘은 아래와 같은 제목의 메일을 받았습니다.
“What differentiates one DSP over the other?”
클릭을 안할 수가!
(그런데 말로 하면 간단해보이지만, 사용자별로 데이터를 로깅하고,이에 따라 각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메일을 보내려면 시스템적으로 고려해야할 것도 많을 듯)
인용구까지 담기엔 너무 길어져서, 구글 Docs에 인용구 부분을 포함해서 발행했습니다. (구글 Docs 버전 바로가기) 리뷰. 블리츠스케일링은 비효율을 감내하고서라도 급격한 성장을 통해 퍼스트-스케일러 우위에 기반한 해자 Moat 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블리츠스케일링은 업종, 규모, 지역과 관계 없이 할 수 있지만 (Part 5) … Continue reading
계속 읽기모든 기업이 블리츠스케일링을 할 수도, 할 필요도 없습니다. 시장으로 진입하는 속도가 결과를 내는 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을 때, 블리츠스케일링이라는 ‘비상식적’ 실행이 필요합니다. 블리츠스케일링하기 좋은, 해야만 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특징 중 하나는 네트워크 효과를 기반으로 한다는 … Continue reading
계속 읽기제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해빗팩토리는 보험 분석 / 관리 앱 시그널플래너를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2022.09.21일 기준) 5점 만점 기준으로 안드로이드는 4.9점, iOS는 4.8점의 평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저희의 목표가 다른 회사들과는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빗팩토리의 목표는 정확한 데이터 … Continue reading
계속 읽기